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일제 강점기에 우리 독립운동가들은 중국 곳곳에서 항일 운동을 이어갔습니다.<br> <br>광복 78주년을 앞둔 지금은, 중국에 있는 항일 유적들은 폐쇄되거나 흔적을 찾을 수 없습니다.<br> <br>수난을 당하고 있는 항일 유적들을, 이윤상 베이징 특파원이 가봤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지난달 초 보수 작업을 이유로 돌연 폐쇄된 지린성 윤동주 시인의 생가입니다. <br> <br>생가 내부는 장기간 방치된 듯 풀만 무성합니다. <br> <br>[윤동주 시인 생가 관계자] <br>"글쎄요. (재 개관 일정은) 아직 잘 모르겠고요. 지금은 (관람) 안 됩니다." <br> <br>윤동주 시인 생가엔 내부 수리 중이라는 팻말을 붙여뒀지만 작업 흔적은 보이지 않습니다. <br> <br>뒤늦게 소식을 접한 한국인 여행객들은 문 앞에서 발걸음을 돌리고 있습니다. <br><br>[장현수 / 중국 거주 한국인] <br>"문이 닫혀서 좀 난감하다 했는데 (왔습니다)." <br> <br>[최종인 / 서울 구로구] <br>"한국에서부터 왔는데, 좀 보러 왔는데 (문이) 닫혀있어서 너무 슬프네요." <br> <br>인근 주민들은 한중 관계 얘기부터 꺼냅니다. <br> <br>[마을 주민] <br>"제 생각엔 요즘 한국하고 사이 안 좋잖아요. 길림성(지린성) 선전부에서 열지 못하게 하는 거죠." <br> <br>다롄 안중근 전시실도 두 달 전 문을 닫았습니다. <br> <br>뤼순 감옥 박물관 안에 있는 안중근 전시실은 자물쇠로 굳게 잠겨있습니다. <br> <br>출입문 앞엔 안전문제로 보수 작업 중이라는 안내문이 걸려 있습니다.<br> <br>다른 시설은 모두 정상 영업 중입니다. <br> <br>[뤼순 감옥 박물관 직원] <br>"보수 작업은 낮에 안 하고 밤에 해요. 낮에는 관람객 다칠까봐." <br> <br>중국 측은 두 곳 폐쇄는 "보수 작업이 끝나는 대로 재 개관 할 것"이라고 밝혔지만 정확한 시기는 밝히지 않았습니다.<br> <br>중국은 2017년에도 하얼빈 역에 있던 안중근 기념관을 2년 간 폐쇄한 적 있습니다.<br> <br>건물 신축을 이유로 들었지만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, 사드 배치에 대한 사실상의 보복 조치였습니다. <br> <br>[강준영 /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] <br>"단순 보수 공사를 할 수도 있지만 (현재) 시기상 (양국 관계의) 흐름을 보면 단순한 것 같지 않아서 우려가 된다." <br> <br>수도 베이징에 있는 항일 유적 26곳은 표지판도 없이 잊히고 있습니다.<br> <br>이육사 시인이 순국한 곳으로 추정되는 옛 일제 지하 감옥은 다세대 주택으로 바뀌어 흔적조차 발견할 수 없습니다.<br> <br>단재 신채호 선생이 동아일보 등에 기고하며 항일운동을 이어간 하숙집 일대와, 베이징에 살던 한인 학생들이 조직한 대한독립청년단 본부 건물 근처도 사적지임에도 평범한 중국 가정집 골목으로 바뀌었습니다. <br> <br>한중 관계 전문가들은 양국 관계가 악화될 때마다 항일 유적지 폐쇄 등으로 우리 정부를 압박하는 중국의 움직임이 우려된다고 입을 모읍니다. <br> 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이윤상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위진량(VJ) <br>영상편집 : 구혜정<br /><br /><br />이윤상 기자 yy27@ichannela.com